법인감사해임 후 신규 선임 등기 절차
법인감사해임과 신규 선임의 필요성
법인감사는 법인의 회계 및 업무 집행을 감독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특정 사유로 인해 법인감사해임이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 감사의 직무 태만, ▲ 회사 운영 방해, ▲ 법령 또는 정관 위반 등의 사유가 발생했을 때 감사의 해임이 이루어진다. 감사가 해임되면 그 공백을 신속히 채우기 위해 새로운 감사를 선임하고 이에 대한 등기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감사의 해임 및 신규 선임은 회사의 내부 결정 사항이지만, 상법에 따라 반드시 정해진 절차를 준수해야 하며, 이를 법인등기부에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법인감사해임 후 신규 선임 등기 절차
법인감사해임 및 신규 선임 등기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1. 법인감사해임 결의
법인감사를 해임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법적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감사의 해임은 원칙적으로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에 의한다(상법 제415조). 따라서 주주총회를 소집하고, 감사를 해임할 안건을 상정하여 결의를 거쳐야 한다.
주주총회 특별결의 요건
-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2 이상이 출석
-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
2. 후임 감사 선임 결의
감사가 해임된 후에는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새로운 감사를 선임해야 한다. 신규 감사의 선임은 ▲ 정관의 규정에 따라 이사회에서 선임하는 경우와 ▲ 주주총회의 결의를 거치는 경우가 있다. 대개 주주총회를 거쳐 선임하며, 이는 정관 또는 총회의 결의에 따라 결정된다.
3. 법인등기 신청
신규 감사가 선임되었으면, 해당 사항을 관할 법원 등기소에 반영하기 위한 등기 신청을 해야 한다. 등기 신청은 감사 선임일로부터 2주 이내에 완료해야 한다(상법 제183조).
법인감사해임 및 신규 선임 등기 시 제출 서류
구분 | 제출 서류 | 비고 |
---|---|---|
법인감사해임 | 주주총회결의서 | 특별결의 필요 |
주주총회 의사록 | 공증 필요 | |
변경등기 신청서 | 등기소 제출 | |
신규 감사 선임 | 주주총회결의서 또는 이사회 의사록 | 정관에 따라 다름 |
신규 감사의 취임 승낙서 | 본인 자필 서명 필수 | |
법인 등기부등본 | 기존 감사 변경 사항 확인 |
등기신청은 등기 신청서와 함께 상기 서류를 구비하여 관할 등기소에 제출하여야 하며, 전자상거래 포털을 활용하여 온라인으로도 접수가 가능하다.
유의해야 할 사항
-
신청 기한 준수
법인감사해임 및 신규 선임 등기는 선임일로부터 2주 이내에 진행해야 한다. 이를 어길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
주주총회의 정족수 확인
감사 해임과 신규 선임이 적법하게 이루어지려면 주주총회의 정족수를 충족해야 한다. 주주총회가 법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등기가 반려될 수 있으므로 이에 주의해야 한다. -
취임 승낙서 확보
새롭게 선임된 감사는 반드시 취임 의사를 밝혀야 하며, 서면으로 된 취임 승낙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를 누락하면 선임 절차가 완료되지 않으며, 등기가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Q&A
Q1. 법인감사해임을 할 때 감사를 반드시 해임 사유를 밝혀야 하나요?
A1. 상법에서는 감사 해임 사유를 반드시 명시하도록 요구하지 않지만, 주주총회의 명확한 결의를 위해 해임 이유를 공식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Q2. 감사가 자진 사임할 경우에도 등기를 해야 하나요?
A2. 네, 감사가 자진 사임하는 경우에도 해당 변경 사항을 법인등기부에 반영해야 한다. 자진 사임 시에는 사임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된다.
Q3. 감사 해임 후 신규 선임을 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요?
A3. 일정 규모 이상의 법인은 상법상 감사 선임이 필수이다. 감사 공석 상태가 지속될 경우 법적 문제(부적법한 상태 유지) 및 경영상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며, 관할 관청으로부터 시정 명령을 받을 수도 있다.
Q4. 감사의 임기 만료 시 별도 해임절차 없이 신규 선임만 하면 되나요?
A4. 네, 감사의 임기가 만료된 경우에는 해임이 아닌 '임기 만료'로 처리되며, 별도의 해임 절차 대신 바로 신규 감사를 선임하면 된다.
결론
법인감사해임과 신규 감사 선임은 법인의 투명성과 경영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법적 절차이다. 이러한 변경 사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지 않으면 법적 분쟁이나 경영상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법률과 절차를 충분히 숙지하고 이를 철저하게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주제와 관련된 도움이 될만한 글
✅📜
✅📜 법인주소변경수수료 아끼는 필수 절차
✅📜 법인임원임기만료 후 변경등기 안하면
1 thought on “법인감사해임 후 신규 선임 등기 절차”